본문 바로가기
디자인

디자인 포트폴리오에 대한 조언

by rious275 2020. 11. 4.

 

나는 방금 스피드 데이트 스타일의 디자인 멘토링 행사를 마치고 집에 돌아 왔고 , 지치지만 에너지가 넘친다. 나는 내성적인 성격이고, 낯선 사람과 2시간을 연속으로 대화하는 것은 육체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지치는 일이다. 하지만 이제 막 졸업한 졸업생들과 신입 디자이너들과 이야기를 나누면 내가 왜 이 분야에 입문했는지, 왜 이 일을 하기 위헤 매일 일어나는지 상기되기 때문에 힘이 난다.

 

이 행사에서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IntuitFacebook과 같은 회사에 입사 희망하는 지원자들을 수년간 인터뷰한 결과, 포트폴리오가 종종 잘못된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너무 길다는 것이다.

 

오늘 밤 내가 젊은 디자이너들에게 했었고, 포트폴리오에 대한 피드백을 찾는 모든 디자이너들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이 있다.

 

시작하기 전에 참고할 사항: 

이 조언은 대부분 온라인 포트폴리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온라인 포트폴리오와 오프라인 포트폴리오의 다양한 목표와 맥락Context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온라인 포트폴리오의 목표는 채용 담당자 또는 채용 관리자의 관심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직접 대화하고 싶을 정도로 충분한 맥락를 제공하는 것이다. 반면에 오프라인 포트폴리오의 목표는 한두 가지 프로젝트에 대해 심층적으로 파고들어 문제, 해결책, 그리고 어떻게 해서 한 프로젝트에서 다른 프로젝트로 전환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훨씬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포트폴리오 항목의 두 가지 버전이 있어야 한다.

 

개요가 아닌 이야기를 하라

포트폴리오의 목적은 당신과 직접 대화하고 싶을만큼 관심 있어하는 채용 담당자 또는 관리자를 확보하는 것이다. 신입 디자이너부터 경험 많은 디자이너까지 포트폴리오를 무작위로 감사 한 결과 페이지의 평균 단어 수가 1300개가 넘는다.

 

하지만 길이 자체가 문제가 아니니 오해하지 말 것. 내가 보는 거의 모든 포트폴리오의 형식은 같고, 잘 짜여진 이야기가 아닌 개요처럼 보이고 읽힌다. 머리글 뒤에 단락과 이미지가 계속해서 반복된다. 이러한 섹션에는 종종 다음이 포함된다.

 

  • 프로젝트 개요 Project Overview
  • 디자인 챌린지 Design Challenge
  • 역할 My Role
  • 디자인 과정 Design Process
  • 경쟁 분석 Competitive Analysis
  • 휴리스틱 평가 Heuristic Review
  • 사용자 리서치 User Research
  • 사용자 페르소나 User Personas
  • 사용자 이야기 User Stories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Affinity Diagramming
  • 사용성 테스트 Usability Testing
  • 스케치 Sketches
  • 와이어프레임 Wireframes
  • 흐름도 Flow Diagrams
  • 디자인 스펙 Design Specs
  • 프로토타입 Prototype
  • 결과, 지표 Outcome / Metrics
  • 회고, 배운점 Retrospective / What I Learned

이 리스트를 보면 평균 포트폴리오의 단어가 왜 1300개나 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채용 담당자와 채용 관리자는 매주 수십 또는 수백 개의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선별한다. 프로세스와 솔루션을 꼼꼼하게 문서화하는 데 소비한 시간을 생각해 보아라. 단 한 명의 사용자도 프로세스 전체를 읽지 않았음을(또는 읽지 않았을 가능성)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개요 형식은 다소 재미없는 읽기를 만든다. 대신, 프로젝트의 가장 흥미롭고 영향력 있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를 진행한다면 읽는 사람들이 완벽하게 멀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고 반드시 그들의 관심을 사로잡고 주요 포인트를 전달해야 한다.


대신, 프로젝트에서 가장 흥미롭고 영향력 있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이야기를 해야 한다.


내가 선호하는 건 프로젝트의 프로토타입과 함께 문제, 솔루션 및 결과(사용자 또는 비즈니스)를 다루는 프로젝트에 대한 간략한 설명 형식이다. 이 공간은 전체 이야기를 들려주기에 충분한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Learn more' 버튼이나 전체 게시글에 대한 링크가 따로 필요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시 말하지만, 채용 관리자는 그 버튼을 클릭하지 않을 것이다.

 

권장 사항: 

 

  1. 포트폴리오 작업물의 길이를 줄여보도록 하자. 500단어로 줄일 수 있는가? 200단어? 100단어?!
  2. 디자인 분야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에게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설명 할 수 있는가? 아이에게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이러한 생각/사고 연습은 당신을 개요 형식보다는 서술형으로 이끌 것이다.
  3. 주목할만한 모든 것(문제, 솔루션, 결과, 프로토타입)을 'above the fold(스크롤을 내리지 않은 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영역)' 또는 적어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크롤을 내리기 전에 맞춰보도록 하라.

     길이가 문제라면 무엇을잘라야 할까?

당신의 프로세스를 말하지 마라

이 항목은 나의 모든 조언 중 가장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끝까지 들어보아라. 나는 수백 번의 인터뷰를 거쳤으며 특히 젊은 층 디자이너들이 저지르는 첫 번째 실수는, 과정에 너무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때때로 인터뷰 대상자는 주어진 45분 중 20분을 더 중요한 것들보다 프로세스에 소비한다.(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겠다.)

 

특히 벽에 붙인 포스트잇 사진, 메모, 제품 UI 스케치, 잘 알려진 디자인 프로세스 이미지 등을 많이 본다. 프로세스에 대한 강조가 전적으로 이 졸업생들의 잘못은 아니다. 그들은 디자인 프로세스에 많은 시간을 투자한 교육을 방금 졸업했다.

 

하지만 오해하지 마라. 이건 좋은 일이고 디자이너가 해야 할 일이다. 문제는 모든 디자이너들이 하는 일이기 때문에, 프로세스에 대해 말하는 것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다. 슬픈 사실은 좋은 프로세스가 항상 좋은 디자인으로 이어지는 않기 때문에, 그냥 건너뛰라고 말한다.


좋은 프로세스가 항상 좋은 디자인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권장 사항: 

 

  1. 온라인 포트폴리오에서 한 문장 이상을 프로세스에 쓰지 마라.
  2. 프로세스 결과가 다소 독특하거나 중요한 경우는 프로세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프로세스에 집중하지 않는다면 무엇에 집중해야 할까?

 


제품 중심적 사고와 기술에 집중하라

포트폴리오 작품은 당신이 제품 중심적 사고를 하고 있으며, 디자인은 높은 수준의 숙련도와 스킬을 가지고 있음을 전달해야 한다. 디자인에 관련된 많은 스킬이 있다 하더라도 제품 중심적 사고, 인터랙션 디자인, 비주얼 디자인에서 견고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할 가능성이 낮다.

 

여기서 포트폴리오를 살펴볼 때, 면접관으로서 생각하고 있는 것들의 [완벽하지 않은] 목록이 있다.

 

제품 중심적 사고 Product Thinking

  • 문제는 무엇으로 해결되는가?
  • 그것이 실제 문제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즉, 어떤 연구 인사이트나 데이터가 이를 뒷받침하는가?)
  • 기업은 왜 이것에 관심이 있는가? 솔루션이 비즈니스 지표 또는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 이 프로젝트의 실제 결과는 무엇이며 성공적인가? 비즈니스 지표를 충족시켰거나, 초과했는가? 그렇지 않다면 왜인가?
  • 지금 알고 있는 사실을 미리 알았다면, 돌아가서 무엇을 다르게 할 수 있을까?

비주얼 디자인 Visual Design

  • 기존 라이브러리 또는 OS의 지침 안에서 작업했는가? 아니면 새로운 것을 개발했나? 어느 쪽이든 이유는 무엇인가?
  • 색상, 타이포그래피 등의 사용이 식별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되었는가?
  • 결정된 크고 작은 각 디자인에 대해 근거를 가지고 있는가?

인터랙션 디자인 Interaction Deisgn

  • 가장 어려웠던 인터랙션 디자인 문제는 무엇이었나? 얼마나 많은 반복을 거쳤는가? 최종 솔루션은 어떻게 선택하게 됐는가?
  • 이것이 어떻게 더 복잡하게 시작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단순화되었는지를 보여주는 한 예는 무엇인가?
  • 사용자를 의도한 결과로 자연스럽게 안내하기 위해 어떻게 디자인했는가?
  • 좀 더 고품질의 경험을 위해 모션 디자인을 추가하여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는가?

프로토타이핑은 좋은 추가 사항이고,  밑천이 되어가고 있다.


이 목록은 다루어야 할 것이 많고, 이 모든 것을 추가하면 형식과 간결함에 대한 첫 번째 조언에 위배된다. 온라인 포트폴리오에 표시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려하고, 이러한 모든 질문에 대한 답변을 직접 확인하라.

 

권장 사항: 

  1. 포트폴리오 작업물의 길이를 줄이려면 제품 중심적 사고, 비주얼 디자인 및 인터랙션 디자인과 같은 가장 중요한 것에 집중하라.
  2. 인터랙션 디자인 기술을 강조하려면 마이크로 인터랙션과 애니메이션을 포함한 모든 포트폴리오에 프로토타입을 포함하라. 다재다능한 디자이너에게 바람직한 수준의 기술와 디테일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다. 프로토타이핑은 금상첨화고, 밑천이 되어가고 있다.

모든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지는 마라

물론 내가 여기서 말하는 많은 것들은 지나치게 일반화되어 있고, 당신의 구체적인 상황이나 목표를 고려할 때 항상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것은 내가 자주 했던 조언들이며 이것을 알아두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니 이 조언들을 경솔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좋다.

 

 

 

blog.usejournal.com/portfolio-advice-9968c875a550

 

Advice on your design portfolio

From a guy who has screened hundreds of candidates for companies like Intuit and Facebook

blog.usejournal.com